사회

성남보호관찰소, 이전 촉구 시위

성남까치 2012. 8. 16. 19:30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가 현재 임대한 청사 주변 주민들로부터 1년여 가까이 이전을 요구받고 있어 골머리.
성남지소는 지난 2009년과 지난해 분당구 구미동과 야탑동으로 이전을 추진했으나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기도.
지난 2000년 수진2동에 개청한 성남지소는 12년째 이 일대 반경 100m 이내를 맴돌며 전세살이를 하고 있는 형편.
실제 법무부와 성남지소는 올해 청사 매입비로 65억원을 확보하고도 집행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현 청사 임대 만료가 내년 9월로 다가와 다른 곳으로 이전한다 해도 이전 예정지 주변지역의 반발도 불보 듯 뻔한 상황.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 주민들로 구성된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 잔류 저지대책위(위원장 김인순)'는 14일 오전 성남지소 입구에서 집회을 열고 성남지소 이전을 촉구.
이날 대책위는 "노인 거주비율이 70% 이상에 달하는 다가구주택 밀집지역에 성남지소가 들어서 교육대상자들의 범죄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고, 실제 좀도둑도 들끓고 있다"고 주장해.
대책위는 또 "노인들이 전월세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데 성남지소가 들어선 뒤부터 빈방도 늘고, 전월세 가격도 하락했다"며 "성남지소를 하루 빨리 다른 곳으로 이전해 달라"고 요구.
대책위 김인순 위원장은 "법무부가 임대한 성남지소 건물을 매입해 잔류하려 한다"며 "부자동네 주민들이 입주를 반대하니까 다시 만만한 수진2동에 뿌리내리려는 속셈"이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성남지소가 지난해 9월 왕복 8차선 도로 맞은편 건물에서 현 건물(건축연면적 780㎡ 규모)로 이전한 뒤 같은해 11월부터 매주 1회씩 이전 촉구 집회를 열고 있는 실정.
이에 대해 성남지소 관계자는 "교육대상자에 의한 범죄 발생 여부나 전월세값 하락 등 확인된 것이 아무것도 없다. 주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일 뿐"이라면서도 "청사 이전 문제와 관련해 현재 법무부와 심도있게 논의 중"이라고 밝혀. 김대성기자/sd1919@joong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