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가 600억원 넘는 돈을 들여 판교신도시에 설치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판교크린넷)이 애물단지 취급을 받고 있다.
성남시는 판교크린넷에 대한 기술진단 용역을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 의뢰해 최종결과를 통보받았다고 8일 밝혔다.
기술진단 결과 배출구 악취, 투입구 소음,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기능 부실, 운영비 과다 등 전반적인 성능이 부실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 4개 집하장의 배출구 악취 농도는 669~1천442희석배수로 기준치(500희석배수 이하)를 넘어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악취를 해결하려면 '약액세정탑+활성탄흡착식' 탈취시설을 '탈취로(RTO)' 방식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투입구(공기흡입구) 소음은 최대 99.9㏈로 기준치(55㏈ 이하)를 넘어서 주택이나 상가에 인접한 투입시설은 이전해야 한다는 판단이 나왔다.
음식물쓰레기는 하루 평균 수거량이 0.17t 정도로 이송 효율이 49.1%(기준치 80% 이상)로 떨어지는데다 일반쓰레기와 혼합해 수거하면서 침출수가 나와 소각장 반입 쓰레기의 수분함유율이 74%(설계기준치45%)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시설개선 비용으로 229억1천만원(악취시설 36억4천만원, 투입시설 83억9천만원, 집하시설 108억8천만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됐다.
연간 운영비도 23억8천만원으로, 문전수거 방식(12억5천만원)보다 2배 정도 들어갈 것으로 예측됐다.
시 관계자는 "총제적인 문제점이 확인된 만큼 LH에 시설개선을 요구하고 요구조건이 충족된 다음 인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LH는 성남시 기술진단 용역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LH 판교사업단 관계자는 "탈취시설을 RTO방식으로 개선해도 공기흡입 속도가 빨라 완전연소가 어려운데다 겨울철 백연(흰연기)현상으로 미관상 민원을 불러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LH 측은 "2만9천가구 중 현재 5가구만 민원을 제기했다"며 "기술진단 용역보고서를 받아보고 판단할 사안이지만 현재로선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성남=김대성기자 sd1919@itimes.co.kr
'정치,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자치 이대론 안된다...성남.용인 전직 국회의원 모임가져 (0) | 2011.12.12 |
---|---|
성남시, 위례지구 아파트사업추진 본격화 (0) | 2011.11.09 |
성남 태평동 시청사, 역사의 뒤안길로.... (0) | 2011.11.02 |
성남 옛 시청사 발파 작업으로 정전 소동, 시민 안전 담보 공사 비난 (0) | 2011.11.02 |
10.26 보궐선거, 한나라당 권락용 당선... (0) | 201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