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학·건강

"심장주변 지방 많으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분당서울대병원 연구결과

성남까치 2011. 5. 9. 10:35

뚱뚱하지 않더라도 심장 주위에 지방이 많이 있으면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수 교수와 영상의학과 전은주·최상일 교수팀이 한국인 동맥경화 연구를 위해 분당서울대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심혈관 질환이 없는 402명(평균연령 54세, 남자 57%)을 대상으로 심장 씨티(CT) 검사를 시행하고, 심장주위의 지방, 관상동맥의 협착정도,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 죽상경화반 존재와의 연관성을 조사했다고 8일 밝혔다.

그 결과 심장 주위에 지방이 많은 사람(399 ± 58 cm3)이 적은 사람(154 ± 33 cm3)에 비해 50%이상의 유의한 관상동맥 협착이 10배가 더 많았고, 죽상경화반은 3배,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가 6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주위 지방이 많은 사람이 평균 4배 이상 유의하게 심혈관계 질환이 더 많이 생기는 셈이다.

이 같은 결과는 기존의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연령, 성별, 비만도, 흡연 유무, 혈액내 지방 수치를 보정한 경우에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심장 주위 지방이 심혈관 질환의 독립 위험인자라는 의미다.

임수 교수는 "이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심장주위 지방이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있게 밝혀낸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임 교수는 "심장 주위의 지방량이 많을수록 염증반응 수치가 높고 심장 수축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만큼 중년 성인 중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중 하나 이상을 가지고 있다면 비만이 없더라도 심장주위 지방엔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비만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비만(Obesity)'지 5월호에 실렸다.

/성남=김대성기자 sd1919@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