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학·건강

뇌졸중 증상...빠른 대처가 최선

성남까치 2009. 11. 11. 13:07

뇌졸중환자 98%가 편측마비, 의식장애 등
편측마비, 의식장애,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 5개 증상 중 편측마비가 54.8%로 가장 높은 비율 차지
위험증상을 잘 모르거나 잘못된 민간요법 등으로 3시간 이내에 병원에 오는 비율 29.3% 그쳐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 갑자기5 캠페인’ 전개

 

 


【성남】대한뇌졸중학회는 최근 세계뇌졸중학회가 지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을 날을 맞아 뇌졸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이 경험하는 5개 위험증상에 대한 연구자료를 발표했다.
9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팀이 지난 2004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 3천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뇌졸중이 발병해 병원에 도착한 환자 중 98%가 편측마비, 언어장애,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 5개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증상 중 편측마비가 54.8%로 가장 높았으며, 의식장애(27.5%), 어지럼증(10.5%), 시각장애(2.8%), 심한 두통(2.3%)이 뒤를 이었다.
또,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아 막힌 혈관을 뚫거나 뇌경색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하는 골든타임 내에 도착한 환자는 890명으로 전체 환자의 29.3%에 불과했다.
이중 뇌졸중의 대표적 위험증상인 편측마비와 의식장애는 골든타임 내에 병원에 도착한 비율이 30% 이상으로 두 증상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보다 높았던 반면,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을 호소해 골든타임 내에 온 환자의 비율은 20%에 그쳐 3개 증상에 대한 인식이 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분석결과를 발표한 신경과 배희준 교수는 “뇌졸중의 치료에 있어서 병원에 빨리 도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많은 경우 뇌졸중 위험증상에 대한 인식이 낮아 적절한 치료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뇌졸중의 대표적 5개 위험증상을 평소에 숙지하고 있으면, 뇌졸중 발병 시 병원에 바로 갈 수 있고, 초기 치료를 통해 의료진에게는 치료의 질이, 환자에게는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뇌졸중에 대한 위험 증상(Warning Signs)에 대한 인식이나 초기 대응능력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을 반영해 뇌졸중 위험증상의 인식제고 및 뇌졸중 치료의 질 향상을 통한 사회 경제적 비용 감소를 위해 ‘뇌졸중 갑자기5 캠페인’을 전개하고, 지속적인 대국민 건강강좌 등 홍보활동을 전개키로 했다.

 


=뇌졸중의 5대 위험증상
1. 편측마비 : 뇌졸중의 가장 대표적 위험증상으로 몸의 한쪽만 움직이지 않거나, 반대편보다 확실히 힘이 떨어지는 증상이며 안면마비도 동반될 수 있다.
2. 언어장애 : 발음이 어눌하며 말을 잘 하지 못하거나, 말을 많이 하는데 이상한 말을 하는 경우를 말하며, 깨워도 일어나는 않는 의식 장애도 함께 올 수 있다.
3. 시각장애 : 한쪽 눈이 잘 보이지 않거나, 시야의 한쪽 편에 사물이 어른 거리는 시야장애 및 물체가 겹쳐 보이는 복시를 말한다.
4. 어지럼증 : 어지러워 걷기가 어렵거나 비틀거리고 잘 넘어지는 보행장애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5. 심한두통 : 일생 동안 단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심한 통증으로 의식장애 및 구토가 동반되기도 한다.

 

김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