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치아로 골 이식재 만든다
분당서울대병원·조선대병원 공동 연구, 임플란트 시술에 새로운 전기 마련
【성남】버려지는 자신의 치아로 뼈이식 재료로 만들어 임플란트 시술에 이용하는 방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김영균 교수는 조선대병원 치과 김수관 교수와 함께 환자에서 발치된 본인의 치아를 가공해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하는 골이식재를 만들어 임상에 적용하는데 성공, 현재 한국은 물론 미국·유럽·일본에 국제특허를 출원했다고 17일 밝혔다.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에 치아의 뿌리를 심는 방법이기 때문에 잇몸뼈가 충분치 않으면 성공적인 시술이 어렵다. 만약 잇몸뼈의 상태가 임플란트를 심기에 적당치 않다면 인위적으로 잇몸뼈를 이식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뼈이식 재료로 그동안은 동종골(타인의 뼈), 이종골(소·돼지 등 동물의 뼈)을 이용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한 합성골이 사용되었다.
김영균·김수관 교수팀은 뼈 이식 재료로 자신의 뼈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임에도 불구하고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 등의 대체재료가 널리 이용되는 것에 착안해 사람의 치아를 이용한 생체재료 개발 연구를 해 온 끝에 환자들에게서 발치되는 치아들을 최첨단 공법으로 가공, 자가 이식재로 처리한 후 동일 환자의 골이식술에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김영균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김영균 교수는 2008년 10월부터 40여 명의 환자에게 자가치아를 이용한 골이식재를 이용한 결과, 자가골 이식과 거의 유사한 치유과정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2009년 4월 대한치과이식학회에 자아치아 골이식재에 대한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했다.
환자 본인의 치아를 이용하면 유전적 결합이 동일해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적, 전염적 위험이 전혀 없고, 치아에 함유된 유기질인 콜라젠을 보존시키는 방법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이식되는 잇몸뼈와 동일한 골기질을 갖게 돼 기존의 골이식 재료 보다 임플란트의 기능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서는 보통 1~2개의 치아 발치가 일반적이므로 의료진이 발치한 치아를 생리 식염수에 냉장 보관 후 일주일간 분쇄 및 처리 과정을 거처 자신의 잇몸뼈와 동일한 골전도와 골유도 능력을 가진 새로운 기능의 골분말 형태의 이식재를 제작하게 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김영균 교수는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환자가 늘면서 뼈 이식술이 점차 보편화됨에 따라 의료진은 물론이고 환자도 골이식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버려졌던 발치된 치아를 가공해 다시 자신의 뼈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환자의 거부감이 없고, 기존의 골이식재 보다 기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에서 자가치아 이식재가 보편화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영균·김수관 교수팀은 자가치아 골이식재가 보편화 되면 현재 제대혈 은행처럼 자신의 유치나 사랑니를 이식재로 가공해 보관하는 자가치아 은행 형태의 운영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대성 기자
'병원·의학·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당제생병원 유희탁 박사 정년 퇴임식 가져 (0) | 2009.05.25 |
---|---|
수족구병 예방 요령 (0) | 2009.05.19 |
분당제생병원, 사랑나눔 바자회 개최 (0) | 2009.04.28 |
분당제생병원, 김인식 감독에게 VIP 진료권 제공 (0) | 2009.04.03 |
와이브로(Wibro) 전송시스템, 심질환자 응급시 효과적 (0) | 200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