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질환,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나
역류성 식도염과 비만 상관관계
【성남】명치끝이 아프고 속이 더부룩하는 등 복부 불편감을 호소하는 여성의 비율이 높지만 실제 위장질환은 남성에게서 훨씬 많이 나타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달 28일 대한 헬리코박터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가 지난 2006년 1월부터 같은 해 6월까지 전국 40개 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받은 16세 이상의 검진자 2만5천536명을 대상으로 역류성 식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 등 상부 위장관질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네 가지 질환 모두에서 여성보다 남자이 2배 이상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 지난 1년간 수일 이상 상복부 동통이나 불편감을 느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49.3%(7천356명)로 여성 54.9%(5천565명) 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증상에 대한 호소는 여성이 더 많지만 실제 위장질환이 남성에게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 유병률이 높은 이유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유병률이 남성에게 더 높고(2005년 16세 이상 성인에서 남성 61.9%, 여성 56.5%), 담배나 술이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상부 위장관 질환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인 역류성 식도염은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체질량계수 조사 결과, 비만을 뜻하는 25 이상이 남성은 36.8%로 여성의 22.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 인구 또한 남성에게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는 “역류성 식도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과 비례하는 다른 위장질환과 달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그 보호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젊은 층을 중심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이 낮아지는 현상과 과체중 증가로 역류성 식도염의 발병률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대성 기자 sd1919@kiho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