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반도체·기계·조선 '맑음', 섬유·건설·정유 '흐림'
금년 반도체·기계·조선 '맑음', 섬유·건설·정유 '흐림'
2007년도 반도체·기계·조선 등의 업종은 호조가 예상되는 반면 섬유·건설·정유 등은 상대적으로 부진할 전망이다.
1일 성남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업종의 2006년 실적 및 2007년 전망 조사’를 보면 주력 수출
품목인 낸드플래시 시장의 팽창과 지속적인 DRAM 가격상승이 예상되는 반도체와, 관련 산업(전자·조선 등) 설비투자 확대가 기대되는 기계업종의 내년도 전망이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한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수주가 이어지고 있는 조선 역시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이들 업종의 경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생산, 내수, 수출 등 전 부문에서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중국산 저가제품의 국내외 시장잠식이 지속되고 있는 섬유와 부동산 규제강화와 이에 따른 시장 관망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건설업종은 금년에도 마이너스 성장의 부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유가하락에 따라 수출단가 하락이 불가피한 정유와 수요산업(건설 등) 위축이 예상되는 석유화학, 철강 등의 업종도 금년 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당초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실적(수출 21.5%, 생산 14.9%)을 달성한 데 이어 금년에도 수출(10.3%)과 생산(10.2%) 모두 두 자리 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DRAM 공급부족 현상으로 최근 우수한 생산능력을 갖춘 우리기업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을 뿐 아니라 주력품목인 낸드플래시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업계는 최근 국내외 관련 업계가 생산설비를 경쟁적으로 확충하고 있어 채산성 측면에서 지난해만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계 역시 지난해에 이어 생산, 내수, 수출 등 전 부문에서 두 자리 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은 중국의 설비투자 확대와 미국·일본 등 선진국 경기의 안정적인 성장에 힘입어 금년도 14.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고, 내수 역시 전자·조선 등 관련 산업의 수출호조와 이에 따른 설비투자 확대가 예상돼 1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산(11.0%) 역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은 무난하다고 분석됐다.
김대성기자<kimds@jeonm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