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학·건강

분당서울대병원, U-헬스케어 시스템 이용으로 혈당관리 용이

성남까치 2011. 2. 18. 12:10

 

사진=U-케어시스템 모식도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개인별 맞춤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 서비스를 이용하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훨씬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유헬스케어팀(팀장 내분비내과 임 수 교수)은 환자가 가정에서 측정한 혈당 데이터를 자동으로 병원으로 전송하게 하고, 이를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평가한 후, 환자의 평소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맞춤형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당뇨 환자가 혈당을 체크해 혈당측정기를 거치대에 올려놓으면, 혈당 정보가 병원의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되고, 환자의 병력과 현재의 혈당수치를 시뮬레이션해 120여가지의 메시지 중 현재의 상태에 적합한 처방이 환자에게 문자로 전송되는 시스템이다.
 

이때 저혈당과 같이 응급 상황일 경우,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 및 전담 의료진에게도 메시지가 전달되어 환자가 응급상황에서 빨리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 수 교수팀은 60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유헬스케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혈당을 측정한 군(50명), 유헬스케어 시스템없이 혈당을 자주 측정하게 한 군(50명), 그리고 혈당을 자주 측정하지 않는 군 (50명)을 비교한 결과, 유헬스케어 시스템을 적용한 군에서 가장 좋은 혈당 관리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유헬스케어 시스템을 적용한 군에서는 저혈당 없이 혈당 조절 목표치(당화혈색소 7% 미만)에 도달한 비율이 30.6%로 대조군의 14.0%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들은 평균적으로 1~3개월에 한 번씩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게 되므로, 평소자신의 혈당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일부 환자에서는 혈당관리가 잘 안되어 혈당이 지속적으로 올라가 합병증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혈당 조절을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혈당 조절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임 수 교수는 "60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에서는 철저한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저혈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며 "유헬스케어 시스템을 통해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조심할 수 있어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가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유헬스케어시스템이 실제로 당뇨병 환자의 질병 치료에 실익이 있음을 입증 것으로 향후 만성질환 관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 올 획기적인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성남 = 김대성기자 sd1919@itimes.co.kr